안녕하세요~ 양봉선생입니다!!
어제에 이어서 오늘은 공급 부족 원자재 가격 상승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
원자재에는 철강, 금속, 곡물, 목재 등등이 있습니다.
사실 원자재 관련 이슈는 작년 중 후반부터 꾸준히 나왔던 것 같습니다.
구리 가격을 하나의 기준으로 놓고, 구리 수요가 많아지는 게 공급 부족 때문인지 혹은 경기가 살아나는 건지 많은 의견들이 있었거든요.
(구리는 실제로 현실경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나 남미 쪽에서 생산되는 구리 같은 경우는 광산에서 집단으로 캐는 거라, 코로나 때문에 일을 할 수 없어 공급이 부족했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잘 캐고 있겠죠?)
근데 그때 당시에는 구리 가격이 상승한다면 경기지표가 좋아지는 것이라 보고, 특히나 구리가 전기차에 구리가 들어간다는 사실이 대중에게 알려지자 대표적인 경제지표가 되었습니다.
구리 가격이 오르는 걸 보니 실물경제가 좋아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요.
그런데 올해 들어 조금씩 기류 변화가 생겼습니다.
가뜩이나 인플레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었는데, 구리 포함 원자재 가격이 생각보다 너무 오른 겁니다.
(저번 글에도 말했듯이, 같은 상황을 두고 강도에 따라 해석은 판이하게 달라집니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니, 엄청난 유동성 장세의 끝물에서 실적을 보여줘야 하는데 실적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기는 겁니다.
가뜩이나 공급 부족 이슈도 생기면서 이게 업친데 덮친 격이 되었어요.
(공급 부족 이슈는 철강 섹터와 관련이 깊습니다)
결국은 원자재가 부족하거나 가격이 상승하면서 마진을 고려하면 제품값을 올려야 하는데 그럴 수 있냐는 거죠.
(제품값 올리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다만, 최근에 원자재 부담에도 불구하고 오르는 섹터가 하나 있죠.
바로 식료품주입니다.
식료품 가격은 원자재 변동에 대응하면서 쉽게 올릴 수 있고, 실제로 가격을 인상한 경우가 있어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부담이 없다는 점도 고려되었다고도 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금리인상 이슈때문에 떨어지는 성장주와 더불어 원자재 가격, 공급 이슈로 인해 흔히 말하는 경기민감주 가치주도 동반 하락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인플레, 즉 대표적으로 원자재 가격을 잡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핵심은 wti유 가격이라고 봅니다.
기름도 하나의 원자재인데요.
결국은 원자재 가격을 안정화시켜야 증시에는 도움이 될 겁니다.
(계속 내버려 두진 않겠죠?)
그런 의미에서 전 wti유 가격을 지표로 삼고 매매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wti유 가격을 포함한 원자재 가격 하락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순간, 그때부터 진정한 승부가 시작된다고 봅니다.
우리는 그때를 대비해서 종목을 선별하고 분할매수 접근을 해야겠죠.
거시적으로 보면 앞선 근거들로 매수를 할 테고요.
당분간 트레이딩 매매는 회수를 줄이고 당일 청산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예 안 하는 날도 있습니다)
다만, 재료매매 같은 경우는 좀 경우가 다른데요.
재료가 강할 거라 예상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분할매수로 대응할 생각입니다.
다들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주식이란 게 사실 작년 코로나 말부터 비상식적으로 많이 올랐습니다.
주식을 오래 하면서 느낀 것 중 하나가 있는데요.
생각보다 주식시장은 매우 스마트하다는 겁니다.
예전에 어느 블로그에서 본 게 있는데 주식시장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면서 Mr. 주식시장 이런 식으로 보더라고요.
상승추세에 있더라도 이놈은 꼭 어떻게든 핑곗거리를 만들면서 체하지 않게 토해내면서 간다고요.
(물론 제가 보기엔 가끔가다가 체해서 토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ㅋㅋ)
이렇듯, 너무 일희일비하지 마시고, 매번 말해서 지겨우시겠지만 매수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되돌려보시고 복기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식이야기 > 양봉선생's 주식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팩주에 관한 경험담. 노하우 팁. 주의할 점. (1) | 2021.06.18 |
---|---|
기술적 분석(차트분석)의 중요성. 왜 공부해야하는가? (0) | 2021.05.19 |
금리인상 이슈.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2) | 2021.05.13 |
결국은 갈수밖에 없는 섹터(업종). 금리인상과의 연계(은행,보험 etc..) 재료매매. (0) | 2021.05.06 |
공매도영향으로 인한 하락장에서 체크해야 할 사항. (2) | 2021.05.04 |
댓글